상단영역

본문영역

전통시장 자구 노력이 우선이다

  • 입력 2012.01.25 16:19
  • 기자명 서울매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1550개 전통시장은 서민의 상징인 36만여 상인의 생계가 걸린 삶의 터전이다.그러나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대형마트에 고객을 점차 빼앗겨 요즘은 대부분 고사 직전이다.그동안 정부가 ‘전통시장 현대화’ 프로그램에 따라  점포 개량 등 시장 환경도 많이 개선했으나 효과는 미미했다.“시장에는 상인이 절반”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고객 발길은 여전히 뜸하다.
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의 영역 확장으로 7년 새(2003~2010년) 전국의 전통시장 178개가 문을 닫은 것으로 집계됐다.반면, 같은 기간 SSM은 234개에서 928개로 무려 694개나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고, 대형마트는 265개에서 450개 이상으로 130여 개나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매출을 봐도 전통시장은 이 기간 36조 원에서 24조 원으로 33%나 곤두박질쳤다. 이런 가운데 대형마트 3사(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는 2007년(28조 3천억 원), 백화점 3사(신세계 롯데 현대)는 2010년에 전통시장 매출을 추월해 버렸다. 그야말로 '대형'과 '기업형'이 판을 치면서 전통시장은 하염없이 추락한 것이다.
지난해 국회에서는 대형마트와 SSM의 영업시간을 오후 10시까지 제한하자고 칼을 꺼냈다가 결국 자정까지 영업을 허용하는 것으로 후퇴하기도 했다. '정치쇼'라는 비난을 듣는 것은 이런 촌극 때문이다.
 물론 전통시장의 자구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그러나 무엇보다 전통시장을 살려야 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이 막중하다.우선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또 소비자와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특화된 시장을 개발하고, 현금영수증 서비스를 실시하고 인근 시장과 공동으로 산지 직거래 규모를 늘려야 할 것이다.또한 50%도 안 되는 카드 거래 비율도 높여야 한다. 상인들이 카드 받기를 꺼리는 데 손님들이 마음 편하게 시장을 찾을 턱이 없다. 좋은 상품 구비와 환경 정화는 필수다.
60% 정도밖에 되지 않는 주차장 확보율을 더욱 높이고, 50%에 불과한 신용카드 거래 비중을 제고하는 등 상인 의식을 전환하는 일이다.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에 대해 전통시장이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할인 상품권 보급을 확대하거나 산지 직거래 확대 등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서울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