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국회예산처, 모병제 전환 13조 2,922억원(연간 2조 6천억원) 추가 예산 필요

모병제 15만명 시행에 6조원, 20만명에는 13조 3천억원 추가로 필요

  • 입력 2020.08.27 15:02
  • 기자명 오순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순석 기자 / 구자근 의원이(미래통합당, 구미갑) 국회예산정책처에 모병제 전환에 따른 추가재정을 분석 의뢰한 결과, 향후 5년간 13조 2,922억원의 추가 재정소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11월 더불어민주당의 민주연구원이 모병제 도입을 공론화하기 시작했으며, 최근 병무청 50돌을 맞아 병무청장이 모병제를 고민해 봐야 할 때라고 밝혀 모병제 전환과 관련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회예산처는 「모병제 전환에 따른 관련 비용 전망 분석」 자료를 통해 2021년에서 2025년까지 5년동안 모병제 실시에 따른 각 시나리오별 추가 재정소요를 분석했다.
국회예산처는 대만과 같이 100% 전면적 모병제를 실시할 경우 현행 2022년 국방중기계획 기준 병사 인원(약 30만명)의 (1)50.0% 감축 시(시나리오 1, 15만명) 6조 172억원(연평균 1조 2,034억원), (2)33.3% 감축 시(시나리오 2) 13조 2,922억원(연평균 2조 6,584억원)의 추가 재정소요가 필요한 것으로 추계했다.
그동안 정치권 및 학계에서는 모병제 실시에 따라 운영되는 군병력을 35만명, 또는 40만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2019년 말 현재 부사관 이상 간부인력 약 20만 명을 제외하고, 모병제에 적정한 병사 인력 규모를 15만명(시나리오 1) 또는 20만명(시나리오 2)으로 각각 분석했다.
국회예산처는 조사 분석 과정에서 실제 현행 인건비 등 체계 하에서는 대상인원 부족, 모병 기피 등의 사유로 모병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해 모집인원에 미달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구자근 의원은 “모병제를 본격적으로 실시할 경우 원활한 모병제 모집을 위해서는 국회예산처의 예상보다 더 많이 월급을 지급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군 월급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상향 등으로 인해 예정처 분석 자료보다 훨씬 더 많은 재정소요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국방부는 병력 수준과 관련해 「국방개혁 2.0」에 따라 현행 징병제 유지를 전제로 부사관 이상 간부 포함 상비병력 규모를 현행 57만 9,000명에서 2022년까지 50만명으로 감축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2022년 이후에는 상비병력 규모를 50만명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구자근 의원은 “국방부가 현행 상비병력 규모를 50만명으로 감축하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모병제 도입시 35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병제 도입은 향후 막대한 재정소요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를 통해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