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창원, BRT 중심으로 대중교통의 혁신방안 찾는다

“창원 BRT 시민에게서 해법을 찾다”란 주제로 「시민 대토론회」 개최

  • 입력 2020.10.21 12:30
  • 기자명 김동주·김효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주·김효숙 기자 / 창원시(시장 허성무)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의 본격적인 추진에 앞서 시민의견을 직접듣기 위한 「창원 BRT 시민 대토론회」를 20일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개최했다.
‘창원 BRT, 시민에게서 해법을 찾다.’란 주제로 창원시내버스개혁 시민대책위원회와 창원시가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창원시가 추진하는 대중교통 정책에 대해 시민의견을 직접 듣고 공감대를 높이기 위한 취지다.
이날 토론회에는 일반 시민 뿐만 아니라 시민단체, 시내버스․택시 운수종사자, 교통전문가 등 각계각층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시민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으며, 직접 참석하지 못한 시민은 창원시 공식 유튜브 채널 ‘추천창원’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참여 등 100여명이 함께했다.
토론회 첫 발표를 맡은 창원시정연구원 전상민 연구위원은 창원시 대중교통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창원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은 시내버스가 유일해 서비스 경쟁이 이뤄질 수 없는 구조”라며, 창원시 대중교통을 혁신하기 위한 근본적인 정책으로 대중교통 운영혁신을 위한 ‘창원형 버스준공영제’, 대중교통 수단혁신을 위한 ‘친환경 S-BRT’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발표를 맡은 ㈜신성엔지니어링의 남승석 부사장은 1년 여간 수립한 ‘창원 BRT 구축사업 개발계획’ 수립 내용을 설명했다. “창원시의 도시규모 및 교통특성으로 볼 때 BRT 도입이 필요한 노선은 총 8개이며, 그 중 이용수요가 가장 많은 원이대로와 3․15대로의 도입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는 용역결과를 발표하며, “원이대로와 3․15대로에 BRT체계시설이 구축되면, 이용객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성주사역~월영광장까지 BRT 노선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운영계획을 설명했다.
이어, “창원시는 도시철도가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BRT체계시설의 고급화가 필요하다.”며, 녹지분리형 BRT 전용도로, 우선신호 도입, 폐쇄형 또는 반개방형 BRT 정류장 도입 등 창원형 BRT의 시설기준을 제시했다. 또한 “개발계획 수립 구간 중 ‘창원광장’ 및 ‘합성동 지하상가’ 통과방안에 대해서는 충분한 의견수렴이 필요한 만큼 기본 및 실시설계 단계에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향후 추진방향도 제시했다.
다음으로 창원시내버스개혁 시민대책위원회 이윤기 공동운영위원장의 사회로 도로교통공단 김재식부장, 마산YMCA 김태석 시민사업위원장, 부산광역시 이상용 박사, 마창여객 장재영 대표이사, 영산대학교 최양원 교수, 창원시 제종남 신교통추진단장의 전문가 토론과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자유토론이 진행됐다.
전문가 토론에서는 “단편적으로 타 도시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따르기보다 창원의 도시·교통 특성에 맞는 적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S-BRT 시범사업을 통해 구체적인 시설기준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에 모두 동의했다. 또한, “BRT 도입도 중요하지만 연계되는 철도역과 버스터미널과의 원활한 환승시스템 구성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자유토론에서는 “도심 승용차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대중교통 효율성이 높은 BRT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승용차 혼잡도 증가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함께 제시됐다. 또한, “도심 내 BRT 뿐만 아니라 부산, 김해를 연결하는 광역BRT 구축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정혜란 창원시 제2부시장은 “BRT 사업은 시민생활과 밀접한 교통사업인 만큼 시민 수용성과 공감대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오늘 제시된 다양한 의견과 토론내용은 앞으로 BRT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검토하고 반영해 나갈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