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뉴새마을운동이 필요해

  • 입력 2013.09.27 15:33
  • 기자명 홍성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의 초가지붕을 벗겨내면서 스레트 지붕으로 교체하던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이 일어 난지 40여년이 흘렀다. 지금 20대는 물론 3040세대들도 새마을 운동이 무엇인지 모를 것이다. 얼마 전엔가 세종시 한 낡은 집에서 불이 났다는 애기는 TV를 통해 들은 것이 생각나 이 글을 쓰게 되었다. 화재로 집은 거의 무너지다시피 훼손됐고 함께 살던 거동 불편한 80대 노모와 지체장애1급 40대 아들이 숨진 것이다. 낡은 집이 제때 인명 구조를 할 수 없게 한 요인들 중 하나였다.
이런 낡은 주택들은 전국에 아직도 많이 산재해 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91% 이상이 사는 도시의 오래된 주택과 불량주택의 상황은 심각하다는 여론도 정부는 들어야 한다. 그곳에는 이른바 ‘주거빈곤자들과 주거약자와 노약자들이 살고 있다.
지난해 말 국토해양부의 정책연구 용역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을 제외한 인구 5만∼49만의 지방중소도시 43곳에는 31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 비율이 13.7%라고 한다. 광역시는 8.0%, 전국 평균은 9.7%이며.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결함을 지닌 주택에 사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낡은 가옥과 불량주택들이 전국 곳곳에 산재되어 있는. 무허가 주택이 60% 이상인 달동네의 주거환경은 쉽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도로율이 10% 수준이어서 방범활동과 소방차량들의 접근이 쉽지 않은 곳들이다. 다시 말해 접근성이 떨어진다. 더욱이 취약계층인 거동 불편 자나 경제력이 낮은 고령자들이 주로 거주해 긴급의료 접근성, 폭염이나 한파 등에 대비마저 미흡한 실정이다. 한 평(3.3㎡) 남짓한 단칸방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쪽방촌의 쪽방 80% 이상이 공동화장실을 이용하고 화장실이 아예 없는 경우도 6∼7%나 된다고 한다. 고시원, 비닐하우스, 숙박업소 객실, 컨테이너 등에 사는 사람들의 통계는 제대로 잡히지도 않는다. 이는 스스로의 주거지 정비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가 되고 있으나 정부의 대책은 미흡하기만 하다.
주거환경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신적 트라우마를 낳는다. 요즘 TV드라마에서 서울 달동네 주민부터 시작해 퍼스트레이디로 청와대에 입성하는 역할을 연기하는 영화배우 수애의 얘기는 귀담아 들을 만하다. 구두수선공의 큰딸이었던 수애는 소녀시절 서울 봉천동 달동네에서 살았다. 그는 당시를 회상하며 ‘꿈이 있어도 이룰 수 있는 기회나 희망이 없다는 사실을 일찍 깨달은 아이’ ‘가지고 싶은 것도 없고 포기도 빠른 아이’ 등의 표현으로 어린 시절 마음의 상처를 얘기했다.
곳곳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주거복지를 위해 조례를 잇달아 제정하는 것은 다행스럽기만 하다. 주거약자들이 적정 수준의 주거환경에서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집수리 지원, 임대료 보조사업 등에 힘을 쏟겠다는 취지다. 주거약자의 범위를 설정해 장애인, 고령자, 기초생활 수급자 등의 주거문제를 보편적 복지 영역으로 확대해 관리하겠다는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국토부는 1·2단계(2001∼2013년) 사업에 이어 내년부터 2018년까지 주거환경개선사업 3단계 사업의 기본방침을 마련하는 중이라고 한다.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방안을 확정한다고 한다니 다행스럽기는 하다. 이 3단계 사업은 박근혜 정부와 궤를 거의 같이하게 되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대선 때 “‘다시 한 번 잘 살아 보세의’ 신화를 이루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했다.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힌’ 새마을운동에 대한 향수(鄕愁)를 자극하는 것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난달 경북도에서 그 새마을운동을 개발도상국 등에 보급한다는 목표로 새마을세계화재단이 출범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이침에 발상지인 우리나라에서도 새로운 도시 새마을운동이 펼쳐져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나눔과 소통으로 상생하는 도시공동체 삶이 이뤄지도록 말이다.
그리고 주거문제와 인권문제 그리고 말도탈도 많은 복지문제도 새마을 사업과 연계하는 사업을 창출 했으면 한다. 그래서 주거 빈곤자들이 비참하지 않은 주거시설을 갖춘 주택에서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물론 차 상위계층의 주거 빈곤에 대한 성찰과 지원이 간과돼선 안 되겠지만 우리는 지금 전국의 쪽방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정부는 국고지원 비율을 높이는 등의 방법으로 주거문제 해결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국가 차원에서 적절한 주거시설 및 주거환경 기준을 세워 적극 관리하는 제2의 새마을 사업을 벌여 빈곤자와 노약자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편안한 삶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금 우리는 100세 장수시대를 맞아 자식과 같이 노후를 보내게 되는 어려운 시대를 선진국과 같이 노인들의 생활 대책을 정부는 고민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홍성봉의 是是非非> 홍성봉 편집국장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